본문 바로가기

사회적책임2

[장하준 교수 인터뷰] 이윤을 많이 내는 것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윤을 많이 내는 것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윤 추구와 사회적 책임은 분리될 수 없다.”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와 인터뷰 “시장이라는 것이 너무나 효과적이기 때문에 방치하면 때로는 자기 자신을 파괴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죠. 단기적으로 보면아동의 노동력을 사용해서 이윤을 내는 등의 방식이 성장을 돕는 것처럼 보일지 몰라도 그들이 교육도 받지 못하고 노동력 질의 저하를 가져온다면 장기적으로는 사회에 큰 손해입니다.”영국 케임브리지대 장하준 교수(46)는 이윤만을 추구하는 경영의근본적 한계를 지적하며 이 같이 말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CSR 논의가 뜨겁다. 이코노미스트지에서는 특집으로 CSR 스페셜 리포트를 기획하고 국제 사회도 빈곤과 인권, 질병, 환경 문제의 해결에 있어 기업의 역할에 주목 하.. 2011. 9. 19.
착한 지식을 공부하는 대학생 "CSR 학생법" 착한 지식을 공부하는 대학생 "CSR 학생법" 일주일에 끝내는 CSR 공부의 단계별 학습법을 제안합니다. 박동천 (luveastsky@gmail.com) 요즘 신문을 보면 CSR은 꼭 한마디씩 등장하니 친숙해지긴 했는데, 과연 어디 가서 CSR 개념을 잡고 공부도 해보아야할까? 공부하는데 일단 개념부터 잡아야 하니 어디 개론 서적이라도 있으면 좋을텐데, CSR과 관련해서는 아직 이렇다 할 책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몇몇 선구자적인 연구자들이 CSR을 본격적으로 다룬 개념 서적이 있긴 하지만 내용도 충분하지 못하고, 시작부터 책 한 권이라니 부담이다. 그래서 대학생들을 위해 CSR로 향하는 아주 짧은 자료들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지속가능경영원의 (www.bisd.or.kr) 짧아서 좋다. 핸드.. 2011.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