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책임투자6 뼈아픈 기억, 사회책임투자를 생각케 한다. 뼈아픈 기억,사회책임투자를 생각케 한다. 김상규 dulset-81@nate.com (*본 코너에서는, 주식투자를 비교적 오래 경험한 가상의 인물 '김지속' 군이 겪었던 우리 주식시장의 투자 문화와 심리적 요소들을 솔직담백하게 그려내고, 이를 사회책임투자의 중요한 요소들과 연결시키고 그 필요성을 역설하고자 한다.) 주식 투자 경험이 전무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매일같이 언론에 오르내리는 증시 이야기는 솔깃할 만하다. 2007년 초여름, 수많은 개미(소액 투자자를 지칭하는 증시 속어)들이 활황장에서 주인공이 되어보고자 증권시장에 뛰어들었다. 대학생 김지속군도 그 중 하나였고 다음 학기 등록금 300만원을 종자돈으로 생활비를 벌어보고자 무턱대고 증권사를 찾아간 개미중의 개미였다. 전공이 경영학이라지만 3년 동안 .. 2011. 9. 19. CSR마케팅/사회책임투자 BOOK- / 감승환 haewoonjjang@hanmail.net 김상규 dulset-81@nate.com , 필립 코틀러 & 낸시 리 리더스북 필립 코틀러는 기업의 사회참여 사업이 단순한 도덕적 의무나 자선활동에서 벗어나 기업의 이익에 도움이 되는 전략적 차원에서 실행되어야 함을 강조하면서,교과서 속에나 존재하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란 주제를 생생한 비즈니스 현장으로 이끌어내 다루고 있다. 필립 코틀러는 기업의 CSR 활동을 공익 캠페인/ 공익연계 마케팅/ 사회 마케팅/ 사회공헌 활동/ 지역사회 자원봉사/ 사회책임 경영 활동으로 나누어 소개하고 있다. 이윤 극대화를 최우선 목표로 하는 기업이 각종 사회책임활동에서 요구하는 비용, 시간과 노력을 감당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는 각종 사회 참여활.. 2011. 9. 19. SRI Fund는 기업을 골라 담는다. "SRI Fund는윤리적인 기업을 골라 담는다." 황윤섭(oojooi8@snu.ac.kr) 2006년 4월 코피아난 UN 사무총장은 'PRI(Principle for Responsible Investment, 사회책임투자원칙)를 발표하였다. 이 원칙이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처음 발표된 이후, 수많은 금융기관들이 이 원칙에 동참하고자 서명했다. 전 세계 약 4000조원에 달하는 80여개 금융기관들이 참여하고 있다. UN PRI는 6개 원칙, 33개 세부 실천프로그램을 담고 있다. 이 원칙들은 금융기관, 각국 정부, 시민단체, 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협의하여 만들었다. UN차원에서 이러한 노력을 하는 것은 그만큼 SRI의 윤리적인 의의가 크기 때문일 것이다. 이 원칙의 골자를 보면 투자의사결정시 ESG이.. 2011. 9. 19. 삼성SDI, 사회책임투자'청신호' 삼성SDI,사회책임투자‘청신호’ 황윤섭 khchoi83@naver.com 해외의 초일류 기업들은 모두 앞다퉈 지속가능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반면 국내 대기업들은 아직 흉내만 내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세계적으로 이미 보편화된 지속가능보고서를 이제야 몇몇 기업들이 형식적으로 발간하고 있는 실정이다. 삼성SDI, 다우존스 지속가능지수 편입 삼성SDI는 좀 다르다. 이미 오래 전부터 지속가능경영을 전사적 차원에서 추진해왔다. 그 노력의 결실로 4년 연속 DJSI(Dow Johns Sustainability Index)에 편입되었다. 편입된 기업 중 전자전기산업 부분에서 3년 연속 최우수기업으로 선정되어 국제적인 모범 사례가 되고 있다. DJSI는 지속가능경영을 잘하는 기업들만 선별하여 편입한 주가지수이다.. 2011. 9. 19. 사회책임투자(SRI)의 개념과 현황 사회 책임 투자(SRI)의 개념과 현황 이성한 daegunin@naver.com 사회책임투자란 무엇인가? 사회책임투자(SRI. Social Responsibility Investment or Sustainable & ResponsibleInvestment)란 투자자의 투자 의사 결정시 전통적으로 중시하던 재무적인 요소뿐 아니라 비재무적인 요소인 ESG요소 - 환경적(Environment), 사회적(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적 요소- 와 같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까지 고려하여 장기적인 관점으로 투자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사회적책임(CSR)을 다하는 기업에게 위와 같은 방식을 고려하여 투자하는 펀드를 사회책임투자펀드(SRI펀드)라고 부른다. 여기서 SRI를 CSR.. 2011. 9. 19. 사회책임 이슈를 중심으로 그려 본 CSR 관계자의 국내 지형도 사회책임 이슈를 중심으로 그려 본 CSR 관계자의 국내 지형도 최강현 khchoi83@naver.com CSR은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는가에 따라, 기업에 대해 어떤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그 관점이 판이하게 달라진다. CSR 자체를 도덕적 당위로 인식하는 시각이 있는가 하면 CSR을 수익성과 관련시켜 바라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러한 시각의 차이는 행동의 차이로도 나타난다. 따라서 한국 사회의 CSR 이슈를 정확히 살피기 위해선 기업경영에 영향을 끼치는 관계자들의 각기 다른 시각을 구분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좀 더 정확한 CSR 정보를 제공하고자 본호에서는 CSR을 대하는 '입장'에 따른 국내 이해관계자들의 지형도를 그려보고자 한다. 좋은 기업 만들기' 시민단체들의 뜨거운 관심 기업의 .. 2011. 9. 19. 이전 1 다음